002 : 그리드 (Gird)

건축소담 02 : 그리드 (Grid)

 

건축적 질서 : 그리드

 

 건축이라는 공간 및 활동에는 질서를 규정하는 몇 가지 개념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그리드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격자무늬를 뜻하는 그리드는 질서를 규정하는 많은 건축언어 중 가장 폭넓게 쓰이는 단어가 아닐까 합니다. 우리는 설계과정에서 그리드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하며, 컨셉단계에서 그리드로부터 형태를 도출해내기도 하며, 공간을 구분 짓기도 합니다. 그리드를 통해 외피를 디자인하거나 인테리어의 패턴을 결정하기도 하며, 더 넓게 나아가 도시를 계획함에 있어 그리드를 통해 틀을 마련하기도 합니다.

 

Jefferson Grid


 그리드는 서양건축의 긴 역사에서 축적되어온 건축의 가장 오래된 이론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제국은 전쟁당시 그리드를 사용했습니다. 군사 주둔지를 건설할 때, 남북방향의 도로인 카르도와 동서방향의 도로인 데쿠마누스를 이용하여 주둔지를 계획하고 건설했습니다. 이 오래된 그리드의 사례인 카르도와 데쿠마누스는 현재 서양에서 남북방향 도로를 뜻하는 애비뉴와 동서방향 도로를 뜻하는 스트리트로 잘 남아 있습니다. 로마제국이 유럽을 정복해나가면서 그들의 도로체계인 카르도와 데쿠마누스라는 그리드를 퍼트렸고 이 체계는 현재 미국의 도로체계인 그리드 제퍼슨격자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동양에서는 비교적 서양에 비해 그리드가 활발하게 사용되지는 않았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도시단위의 그리드의 경우, 주나라에서 전해 내려오던 주례고공기에 기록된 정방형 도시 건설기법이 대표적입니다. 중국의 도시들과 일본의 교토가 주례고공기에 따라 격자로된 정방형 도시로 계획되며 그리드가 사용되었습니다. 주택에서도 일종의 그리드가 사용되기는 했습니다만, 이는 그리드라기보다는 모듈러에 더 가까운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모듈러에 대해서는 다음 편에서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그리드가 설계에 널리 사용된 것 자체가 국제주의 양식부터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동양에서는 비교적 그리드의 사용이 적었던 편입니다.


 

 그리드가 사용되기 시작한 이유는 질서입니다. 건축에 있어서 건물의 평입단면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치수를 정할 기준이 필요했고, 그리드의 사용을 장려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더 나아가 구체적 치수를 제시하게 되었고 그로인해 모듈러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그리드 (Axis)’라는 개념으로 변화되어 설계를 이끌어나가기도 합니다. 앞서 말한 모듈러로서의 그리드가 구체적 설계 지침이였다면, 축은 건축의 위치와 형태를 결정짓는 잣대가 됩니다. 특히 현대에서는 도시와의 맥락을 고려해 도시의 축을 건물로 끌어들여 설계를 진행하곤 합니다. 이 때의 축이 도시의 물리적 축일수도, 건축가가 제시하는 시선에 대한 축일수도, 도시가 가지는 역사적 축 혹은 기능적 축일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러 주변 축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새로운 공간감을 제시하는 축일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축이 건물의 설계단계에서는 건물의 형태와 위치를 결정짓는 잣대가 되지만, 건물로 끌어들이기 전에는 도시, 건축가의 의도, 맥락, 기능에 의한 그리드인 것이죠.


 

그리드생각해보기

 

 건축소담의 두 번째 소소한 이야기 주제는 그리드였습니다. 그리드는 평소에는 의식하고 있지 않지만, 설계 구상부터 설계까지, 건축을 넘어 도시의 구성까지 많은 것의 질서를 규정해주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건축언어입니다. 우리가 흔히 설계시에 사용하는 그리드, 오늘 이 소소한 글을 계기로 그리드의 의미, 역사, 활용법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건축소담 02 : 그리드 Keyword

그리드, 모듈러, 도로체계,